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 첫 운행… 요금은 4.2달러

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 첫 운행… 요금은 4.2달러

달라스조아 0 172

b00e9b6440fccb49af97e9bcdfb83e53_1750689905_1258.jpeg 

시범 운행 중인 테슬라 로보택시. AP=연합뉴스. ⓒ연합뉴스


머스크 "10년 노력의 결실…AI 칩-SW, 팀 자체 구축"

악천후·교차로 등 회피 운행…18세 미만 승객은 제한

구글 웨이모-아마존 죽스 등과 경쟁 예고…"끝이 아닌 시작"


일론 머스크의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가 22일(현지시각)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서비스를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테슬라는 이날 오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유료서비스를 위한 시범운행을 개시했다.


머스크 CEO는 이날 오전 자신의 SNS 엑스(X, 옛 트위터)에 "로보택시 서비스를 오늘 오후 오스틴에서 시작한다"며 "승객들은 정액 요금 4.2달러(약 5800원)를 지불한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이날 약 10대 차량을 투입해 제한된 구역에서 소수의 SNS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들 SNS 인플루언서들은 첫 탑승 영상을 엑스에 잇달아 공개했다.


테슬라 투자자이자 SNS 인플루언서인 소여 메리트는 로보택시 앱으로 차량을 호출해 인근 레스토랑으로 이동하는 영상을 엑스에 올렸다.


머스크 CEO는 "로보택시 출범"이라고 공식 선언했고, "10년간의 고된 노력의 결실"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AI 칩과 소프트웨어 팀 모두 테슬라 내부에서 처음부터 자체적으로 구성된 팀"이라며 "이들이 테슬라 AI 컴퓨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정말 훌륭한 일을 해냈고 그들이 없었다면 로보택시는 아직 실현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엑스에는 머스크 CEO가 이들 팀과 로보택시 출범을 함께 축하하는 사진도 게재됐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오전 오스틴 시내에서 운전석에 아무도 없는 테슬라 차량이 '로보택시'라는 표시와 함께 운행되는 모습이 목격됐다면서 승객 탑승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날 로보택시는 제한된 구역에서 운행되고 악천후와 복잡한 교차로는 피하며 사고에 대비해 원격으로 개입하는 운영자가 대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8세 미만 승격은 태우지 않을 계획이다.


앞서 머스크 CEO는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계획대로 6월 오스틴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영업을 시작할 것"이라면서 서비스 첫날에는 소규모일 수 있지만 "빠르게 규모를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해 말까지 미국 내 다른 도시들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행되는 테슬라가 수백만대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날 시범운행으로 테슬라는 이미 로보택시 서비스에서 가장 앞서 있는 구글의 웨이모에 도전장을 던졌다.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 실리콘밸리, 피닉스에서 운행 중이며 내년에는 워싱턴 D.C. 등 동부 지역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이미 유료 탑승실적이 1000만건을 넘었으며 유료 운행건수는 주당 25만건에 달한다.


아마존의 자율주행 부문인 죽스(Zoox)도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 로보택시 생산시설을 열었다. 죽스는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이거스에서 제한적으로 운영에 있으며 추후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어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테슬라가 이번 소규모의 로보택시 시범 운행을 시작했지만, 장담했던 빠른 대규모 확장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이 중론이다.


카네기멜런대 필립 쿠프만 교수는 "테슬라와 웨이모 같은 자율주행 경쟁사들이 로보택시 산업을 완전히 발전시키는 데에는 수년 또는 수십년이 걸릴 수 있다"며 "테슬라의 성공적인 시범운행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말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대 브라이언트 워커 스미스 교수도 "텍사스에서는 최소 요건만 충족하면 허가를 받기 쉽고 문제가 발생하면 허가가 취소되기도 쉽지만, 캘리포니아에서는 허가를 받기도 잃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성재용 기자 ⓒ뉴데일리

0 Comment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