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무장관 "일본의 대미투자 과반은 전력·에너지"
"제1호 안건은 전력…알래스카 LNG사업도 대상 될 수 있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27일 일본이 미국과 관세 합의 과정에서 약속한 5천500억 달러(약 788조원) 규모 대미 투자와 관련해 절반 이상은 전력, 에너지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보도된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인터뷰에서 일본의 대미 투자금 사용처에 대해 "일본과 미국의 경제안보를 위한 공동 투자"라며 "제1호 안건은 전력 분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기업이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전력 수요가 많아진 미국에 변압기, 냉각 시스템 등을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해설했다.
러트닉 장관은 전력, 조선 등과 관련된 10∼12개 업체가 대미 투자 사업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 1호 사업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에 투자할 곳을 검토하는 투자위원회 의장을 맡는다. 이 위원회는 미국인으로만 구성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투자처를 추천하게 된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발전, 파이프라인 등 리스크 제로 인프라에 자금을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래스카주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도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거대 사업이지만, 일본이 참여하면 LNG를 인수할 권리를 얻어 에너지 측면에서 자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본에 투자액 증액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점점 어려워지는 미국 취업 비자 취득과 관련해서는 "공장 건설과 미국인 연수를 위해 미국에 오기를 희망하는 종업원의 목록을 받아 상무부가 비자를 발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창구가 되는 상무부가 투자 이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비자 발급에 관여하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