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관세 압박 속 美 도매물가 ‘제자리’…인플레 본격 반영은 아직
미국의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과 달리 전월 대비 변화 없이 ‘0%’를 기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전방위적 관세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행·서비스 수요 둔화가 일부 가격 상승 압력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는 미국 내 제조업체의 생산 가격만을 반영하는 지표라는 점에서, 실제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과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PPI는 `정체`, CPI는 `상승`…엇갈리는 신호
미 노동부는 17일 발표에서 “도매물가가 5월 0.3% 상승한 이후 6월에는 제자리걸음을 했다”고 밝혔다. 연간 기준으로는 2.3% 상승했으며, 이는 2024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같은 달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다.
이는 PPI가 미국 내 생산품에 한정되는 반면, CPI는 수입품을 포함한 소비자 전체 지출을 반영한다는 구조적 차이 때문이다. 실제로 CPI 항목 중 관세에 민감한 의류(+0.4%), 전자제품, 가구 가격 등은 일제히 상승했다.
관세 인상 효과, 이제 시작일 수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4월 멕시코, 일본, 캐나다, 브라질, EU 등에서 수입되는 다양한 품목에 대해 고율의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고, 8월 1일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향후 몇 달간 도매·소비자 가격 모두에 점진적인 상승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6월 수치는 관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전”이라며 “여름~가을 사이에 본격적인 물가 전이(pass-through)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여행 수요 둔화나 소비 위축 등이 물가 상승 폭을 제한할 가능성도 함께 제기된다.
연준, 기준금리 유지 기조 유지할 듯
이런 혼재된 물가 흐름 속에서 연방준비제도(Fed)는 오는 7월 29~30일 예정된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현재 4.25%~4.50%)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준에 대해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고, 최근에는 제롬 파월 의장 해임설까지 흘러나와 금융시장에 긴장감을 높였다.
FWDBOND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크리스토퍼 럽키는 “이 정도 물가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주장한다면, 그것은 경제 판단이 아닌 정치적 제스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전망 여전히 ‘불확실성의 시대’
전반적인 경제 흐름은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로 요약된다. 해외 관광객 감소, 가계 소비 둔화, 여행 및 숙박 수요 위축 등은 서비스 물가를 억누르고 있으며, 반대로 관세 인상은 상품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 두 흐름의 충돌이 미국 경제의 향후 물가 흐름을 결정지을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