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매물 22년만에 '최소'
팬데믹 집값 상승, 중산층 내집마련 멀어져
지난 2년 팬데믹 기간 집값 상승과 매물 감소로 중산층의 내 집 마련 꿈이 멀어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7일 보도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 연구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연 소득이 7만5000∼10만달러인 가구가 감당 가능한 가격에 살 만한 주택 매물 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말보다 약 41만1000채 감소했다. 즉, 2019년 말엔 이 소득계층이 적당한 가격에 살 만한 주택 매물이 24가구당 1채는 있었는데, 작년 말에는 65가구당 1채로 줄었다.
그만큼 집값이 올라 이 소득계층의 가구가 살 만한 집이 감소했다는 의미다. 중개인협회는 만기 30년 주택담보대출을 받고 세금과 보험료를 포함한 주거비용에 소득의 30% 이상을 쓰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가구 소득계층별로 적당한 가격에 주택을 살 수 있는 가능성(affordability)을 계산했다. 연구에 따르면, 최상위 소득계층을 제외한 전 소득계층에서 적정 가격의 주택구매 가능성이 악화했다.
주택 매물 수가 줄어든 점이 전 소득계층에 걸쳐 주택 구매를 더 어렵게 했다. 작년 말 매물로 나와 있거나 계약 중인 전체 주택 수는 91만채로, 중개인협회가 1999년 기존주택 재고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로 가장 적었다.
주택 신축도 감소하고 잠재적인 주택 매도인들이 이사를 연기하거나 매각을 꺼렸다. 주택 매물 중 연 소득 7만5000∼10만달러인 가구가 적당한 가격에 살 수 있는 주택의 비중은 2019년 말 58%에서 작년 말 51%로 7%포인트나 감소했다. 이는 연 소득 10만∼12만5000달러인 가구의 해당 주택 비중이 같은 기간 71%에서 63%로 8%포인트 줄어든 다음으로 가장 큰 감소 폭이었다.
퓨리서치센터는 작년 소득 자료를 바탕으로 2인 가구 기준 연 소득이 4만3천399∼13만198달러인 가구를 중산층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