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셧다운, 텍사스에 어떤 영향 미치나
연방정부가 예산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수요일 새벽부터 셧다운(일시적 폐쇄)에 들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지도부, 민주당 의원들이 지출 규모를 두고 대치하면서 타협에 이르지 못한 결과다. 이번 셧다운은 2018년 35일간 이어진 미국 역사상 최장기 셧다운 이후 처음이다.
텍사스에는 약 13만 명의 연방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약 5만1천 명이 달라스-포트워스 지역에 있다. 상당수는 무급휴가에 들어가거나 급여 없이 근무해야 한다. 군인과 필수 인력도 일은 계속하지만 급여는 정부가 다시 문을 열어야 지급된다. 다만 연방의원들은 여전히 급여를 받는다.
텍사스 전역의 이민 사무소는 계속 운영된다. 연방 이민 사무소와 ICE, 세관국경보호국의 단속은 이어지지만 일부 기획·연구·훈련 업무는 중단된다. 국토안보부 웹사이트에 게시된 계획에 따르면 27만 명의 직원 중 약 14,000명의 인력이 무급휴직에 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수급자는 영향이 없다. 텍사스에서만 약 440만 명(7명 중 1명꼴)이 수당을 받는데, 이는 의무 지출 항목이기 때문이다. 다만 신규 신청 처리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메디케어·메디케이드도 계속 운영되지만, 인력 부족으로 일부 서비스가 늦어질 수 있다.
우편 서비스는 정상 운영된다. 우체국과 배달 업무는 세금이 아니라 자체 수익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여권 발급은 가능하지만 인력 부족으로 처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국립공원은 부분 개방된다. 야외 공간은 방문할 수 있지만, 안내센터 등 직원이 필요한 시설은 닫힌다. 지난 2018년 셧다운 당시 ‘빅 벤드 국립공원’에서 선사시대 암각화가 훼손되는 등 피해가 컸던 만큼, 이번에도 관리 인력이 절반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공항은 문을 열지만 지연 가능성이 있다. 관제사와 보안 인력이 급여 없이 근무해야 하기 때문에 장기화될 경우 2018년처럼 보안 검색대 폐쇄나 장시간 대기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
재난 대응은 당장은 유지되지만, 장기화되면 FEMA 지원금 승인이나 홍수보험 신규 발급이 중단돼 일부 주택 거래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은 당장 일상생활 전반에 큰 혼란을 주지는 않지만, 장기화될 경우 연방 직원과 텍사스 지역사회 곳곳에 실질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